세계지리 - 그린란드Greenland의 정치, 주민,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세계에서 가장 큰섬이며 지리상으로는 북아메리카대륙에 속해 있으나 덴마크의 한 주입니다. 덴마크본토로부터 2,090km 떨어진 북대서양에 있습니다. 캐나다와는 16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그린란드보다 큰 섬입니다. 사방이 바라로 둘러써여 있지만 면적이 워낙 거대하기 때문에 지리학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를 대륙으로 분류합니다.
그린란드는 면적이 덴마크보다 50배가 크지만 인구는 덴마크가 그린란드보다 90배가 많습니다. 그린란드에는 대부분 아누이트계나 네덜란드계의 후손들이 삽니다. 이 섬은 날씨가 매우 춥고 천연자원이 별로 없어서 인구가 적습니다. 대부분 지역이 북극권보나 북쪽에 있으며 섬의 80%가 두꺼운 얼음으로 뒤덮여 있습니다.
그린란드 주민은 대부분 섬에서 가장 따뜻한 남서부 해안지대에 살지만 이 곳의 7월평균기온도 10℃ 정도밖에 오르지 않습니다. 이 해안지대에 그린란드주의 주도이자 가장 큰 소시인 고트호브가 있습니다. 바이킹 탐험가들은 이 섬에 정착민을 끌어들이려고 이 곳을 그린란드(프른섬)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그러나 정작 푸른 곳은 해안지대 일부분이며 그것도 엶 동안만 잠시 푸르며 주요 산업은 어업입니다.
그린란드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역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곳에서 북대서양에 불어닥치는 폭풍우를 예측합니다. 또한 미국기지가 있어 북아메리카 방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린란드의 정치
그린란드는 덴마크의 영토이기는 하지만 자치권이 보장되어 있습니다. 덴마크 정부가 그린란드의 외교와 국방에 대한 권한을 갖고 있으며 그린란드는 덴마크 헌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그러나 그린란드 지방정부는 내부 행정에 대해서는 지방정부 단독으로 세법을 제정하고 학교운영제도를 경정할 수 있는 자치권을 가집니다.
그린란드 지방정부는 의회와 통치위원회가 운영합니다. 의회는 주민이 선출한 의원으로 구성되고 행정부격인 통치워원회의 통치위원은 의회가 선출합니다. 그린란드의 유권자는 의원 2명을 선출하여 덴마크 의회에 파견합니다. 주민 선거로 구성된 지방의회가 지방 행정을 관장합니다. 그린란드에는 지방법원이 여러개 있습니다. 지방법원의 결정에 대한 상소는 고등법원이 담당합니다.
그린란드의 주민
그린란드 주민의 80%가 이 곳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입니다. 그 밖의 주민은 주로 통신, 교육, 행정, 무역 따위에 종사하려고 덴마크에서 건너온 덴마크인들입니다. 그린란드의 주민은 니누이트계가 많지만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덴마크계와 혼혈입니다. 주민은 대부분 이누피아크어에 속하는 언어인 그린란드어를 사용하며 덴마크어를 할 줄 아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종교로는 거의 모두 덴마크의 국교인 복음주의루터교를 믿습니다.
그린란드 주민 가운데 순수한 이누이트계는 드믑니다. 주민들은 대개 그린란드 북서부 끝에 있는 정착촌으 생활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 이누이트는 물범 따위의 동물을 사냥하여 살아갑니다. 고기는 먹고 기름은 연료로 쓰며 가족으로는 옷이나 카약(작은배), 여름 천막을 만듭니다. 겨울 집은 돌과 흙으로 짓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부터 이누이트식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그린란드 주민은 찾아보기 힘들어졌습니다. 한때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얼음판을 돌아다니면서 사냥을 했던 주민들이 이제는 상업적인 고기잡이로 가족을 부양합니다.
카약 대신에 모터보트가 들어왔습니다. 그린란드 주민에게 물범고기는 여전히 중요한 음식물이지만 물고기, 양고기, 감자, 야채, 통조림 식품 따위도 즐겨 먹습니다. 도시와 마을에는 목조 건물이 들어섰습니다. 특별한 날에만 여자들이 화려한 전통 의상을 입습니다. 주민의 약 3/4이 도시에서 살아갑니다. 그린란드의 도시를 규모별로 보면 고트호브, 홀스테인스보르, 야콥스하운, 에게데스미네, 스케르토펜, 율리아네호브 순입니다.
7세부터 14세기까지의 어린이는 의무교육을 받습니다. 거의 모든 주민이 릭고 쓸 줄 압니다. 덴마크에서 직업 훈련을 받는 사람은 많지만 덴마크에 있는 대학교에 진학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고트호브에는 교원을 양성하는 사범학교가 하나 있습니다.
그린란드의 자연환경
그린란드는 해안 산맥으로 둘러싸인 낮은 내륙 고원입니다. 섬의 4/5에 해당하는 174만 500㎢가량이 녹지 않는 얼음층인 빙모로 덮여 있습니다. 이 빙모층의 평균 두께는 1.6km이고, 3.2km나 되는 것도 있습니다. 그린란드에서 가장 높은 곳은 빙모의 동쪽에 우뚝 속은 군보른산(3,700m)입니다. 섬 연안에는 작은 섬이 수천 개 흩어져 있습니다.
피오르드라고 하는 가늘고 긴 협만 수백 개가 산맥 사이의 해안 깊숙이 파고 들어와 있습니다. 징모지대에서 떨어져나온 빙하는 해안의 계곡을 타고 흐르다가 거대한 얼음 덩어리가 되고 피오르드에 닿으면서 잘게 부서집니다.
그린란드의 기후는 매우 춥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온난화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가장 추운 곳은 빙모의 중심부로서 2월 평균기온이 열하 47℃이고 7월 평균기온이 영하 11℃입니다. 가장 따뜻한 지역인 남서부 해안 일대는 2월 평균기온이 영하 8℃이고 7월에는 10℃입니다.
그린란드는 강수량이 매우 적은데, 섬의남부 긑부분에만 유일하게 강수량이 약간 있습니다. 여름에는 하루 24시간 내내 해가 떠 있고 겨울에는 하루 내내 해가 뜨지 않는 현상이 섬 일대에 일어납니다. 한밤에도 태양이 떠 있거나 반대로 어둠만 계속되는 이 두 시기는 북극권 너머의 북쪽으로 갈수록 길어집니다.
그린란드의 경제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그린란드의 경제활동은 물개 사냥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나 해안이 점점 따뜻해지면서 물개들이 더 북쪽으로 옮겨가는 대신 각종 아류가 몰려왔습니다. 덴마크정부는 그린란드 주민에게 물범 사냥 대신 어업을 권장했습니다. 북부지방에서는 여전히 물범을 비롯해 북극토끼, 여우, 북극곰, 순록 따위를 사냥합니다.
그린란드 주민의 1/3이상이 어업과 어류가공업에 종사합니다. 가장 잘 잡히는 어종은 대구이며 넙치, 연어, 새우도 잘 잡힙니다. 이렇게 잡은 생선은 염장, 냉동하거나 통조림 제품으로 가공해 수출합니다.
그린란드에서는 날씨가 너무 춥기 때문에 남서부 해안지대 일부를 빼놓고는 농업이 불가능합니다. 남서부 해안지대에서도 양을 키우는 것이 고작입니다. 짧은 여름 동안에는 건초용 풀, 감자, 야채 따위를 재배합니다. 이 일대에는 키 작은 나무가 자라지만 섬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린란드에는 석탄, 흑연, 납, 우라늄, 아연 따위가 매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광물은 품질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 광업은 별로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그린란드의 역사
지금의 그린란드는 875년경에 노르웨이의 바이킹이 발견했다고 합니다. 바이킹인 '붉은 머리 에릭'이 982년경에 이 곳을 항해했고, 985년에 아이슬란드에서 최초의 정착민을 데려왔습니다.
그린란드 주민은 곧 3,000명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1261년에 주민 투표를 통해 그린란드는 노르웨이에 흡수되었습니다. 1380년에는 노르웨이가 덴마크와 합병하는 바람에 그린란드는 자동적으로 덴마크 영토가 되었습니다. 1814년에 덴마크놔 노르웨이의 합병이 깨어졌을 때 그린란드는 덴마크 영토로 남았습니다.
1933년에 국제사법재판소는 노르웨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그린란드에 대한 덴마크의 영유권을 인정했습니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진행되던 1940년에 독일군이 덴마크를 점령했습니다. 1941년에는 미국이 그린란드의 방위를 맡게 되면서 이 곳에 여러 국사기지와 기상관측소를 설치, 운영했습니다. 1951년에 미국-덴마크 협정에 다라 그린란드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의 방위체계에 포함되었습니다. 미국은 1950년대에 틀레에 있는 공군기지를 확장했습니다.
1953년, 덴마크의 새 헌법에 따라 그린란드는 식민지에서 주로 승격되었으며 덴마크왕국의 다른 지역과 동등한 자격을 얻었습니다. 덴마크는 그린란드 주민이 지방의회를 구성하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그러나 그린란드에 적용되는 법을 계속 덴마크 정부가 제정했기 때문에 그린란드 지방의회에서는 실질적인 권한이 거의 없었습니다.
1966년 그린란드 최초의 은행인 그린란드은행이 설립되었습니다. 같은 해에 덴마크 정부는 그린란트의 어업,교육제도, 주택 따위를 확충하고 현대화하는 10개년 계획을 시작했습니다. 1970년대에 들어와 많은 그린란드 주민이 덴마크의 행정간섭에 반대하기 시작했습니다. 1979년에 덴마크가 그린란트에 자치권을 허용하자 그린란드는 섬 내부의 일을 관장하는 새로운 지방정부를 구성했습니다.
1973년에 덴마크가 유럽공동체(EC)에 가입하자 그린란드는 자동으로 이 기구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982년 그린란드는 주민 투표를 통해 유럽공동체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린란드 주민들은 자체의 경제정책을 자율적으로 경정하고 싶어했기 때문입니다. 1985년에 그린란드는 유럽공동체에서 정식으로 탈퇴했습니다.
'세계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지리 - 기아나French Guiana의 정치, 주민,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23 |
---|---|
세계지리 - 기니 guinea의 정치, 국민,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09.22 |
세계지리 - 그리스 Greece의 정치, 국민,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3.09.20 |
세계지리 - 교토의 역사와 경제, 교육과 문화, 경제, 주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19 |
세계지리 - 뉴욕² New York의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