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지리

세계지리 - 뉴기니섬New Guinea에 알아보자

by 꽈순이 2023. 9. 12.
반응형

세계지리 - 뉴기니섬New Guinea에 알아보자

태평양의 열대지방에 있는 큰 섬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북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린란드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섬입니다. 면적은 약 88만 5780㎢입니다. 내륙지방은 대부분 바위투성이의 험준한 산지이며, 산악지대는 대체로 기후가 서늘합니다. 그러나 북부 해안과 남부 해안의 저지대는 무덥고 습합니다. 
 
뉴기니섬은 인도네시아의 파푸아와 파푸아뉴기니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일찍이 이리안자야하고 부르던 파푸아가 뉴기니섬의 서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곳은 인도네시아의 한 주입니다. 
 
파푸아주의 주도는 북부 해안에 있는 도시 자야푸라입니다. 파푸아뉴기니는 뉴기니섬의 동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찍이 오스트레일리아 영토였던 파푸아뉴기니는 1975년에 독립국이 되었습니다. 남부 해안에 있는 포트모르즈비가 이 나라의 수도입니다. 
 
뉴기니 주민은 대부분 검은 피부에 검은 곱슬머리를 가진 멜라네시아인입니다. 뉴기니섬에는 아시아닌, 오스트레일리아인, 유럽인이 3만 5000명쯤 있는데 주로 해안도시에 모여 삽니다. 파푸아주에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섬에서 많은 사람이 건너와 정착했습니다. 
 
뉴기니인은 주로 농촌지역의 작은 마을에 삽니다. 주민의 거의 절반이 외딴 산골짜기에 살고 있습니다. 1930년대까지 뉴기니는 바깥 세계와 거의 접촉이 없었습니다. 산악지대의 마음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나뭇잎으로 지붕인 인 둥근 오두막에서 살면서 주식인 고구마를 재배합니다. 이들은 주로 돼지고기를 먹습니다. 저지대 마음에 사는 사람들은 더위와 습기를 막으려고 가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집을 짓습니다. 
 
뉴기니섬에는 700개가 넘는 토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언어가 통용되기 때문에 가까운 이웃끼리도 말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뉴기니섬 동부에서는 피진영어(중국, 멜라네시아, 서아프리카에서 사용하는 혼합 영어)를 제2의 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차츰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공용 혼성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뉴기니섬 서부에서는 많은 사람이 말레이어를 제2의 언어로 사용합니다.
 
커다란 산계가 뉴기니섬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이 산계에는 동부의 오웬스탠리산맥과 서부의 자야산이 포함됩니다. 높이 5,030m인 자야산이 뉴기니섬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섬의 내륙지방은 대부분 풀이 무성한 고원과 산맥, 나무가 울창한 깊은 골짜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섬의 북부와 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초원과 밀림이 뻗어 있고 일부 지역의 해안은 홍수림이 울창한 늪지대입니다. 
 
많은 하천이 산비탈을 따라 흘러내려와 저지대를 가로지릅니다. 뉴기니섬에서 가장 큰 하천인 플라이강과 세피크강은 저지대에 이르면서 주위에 거대한 늪지대를 만듭니다. 해안 저지대의 기후는 고온다습합니다. 섬의 중심부로 갈수록 고도가 높아지면서 기온과 습도가 낮아집니다. 뉴기니섬의 일부 지역에는 비가 연평균 5,100mm이상 내립니다. 
 
뉴기니섬의 경제는 세계에서도 매우 낙후된 편입니다. 주민 대다수가 땅을 갈아서 식량을 재배합니다. 많은 농민이 코코넛, 커피, 코코아를 비롯해 상업용 농작물을 재배합니다. 
 
뉴기니섬에는 대규모 구리광산이 두 군데 있습니다. 하나는 파푸아의 나비레 근처에 있고, 또 하나는 파푸아와의 경계선 바로 동쪽에 있는 파푸아뉴기니의 산맥에 있습니다. 이들 광산에서는 구리 외에 소량의 금도 생산됩니다. 석유와 천연가스도 매장되어 있습니다. 
 
이 섬에 맨 처음 정착한 사람들은 수천년 전에 아시아대륙에서 말레이반도와 인도네시아를 거쳐 이주한 것을 보입니다. 그 후 300년 동안 네덜란드, 에스파냐, 영국, 프랑스 탐험가들이 이 섬에 들렀습니다. 1828년에 네덜란드인이 뉴기니섬 서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습니다. 1884년에는 독일이 섬의 북동부 지역을 점령했고, 영국이 남동부지역을 차지했습니다. 
 
영국은 1906년에 이 영토를 오스트레일리아에 넘겨주었습니다. 제2차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한 뒤 국제연맹은 뉴기니섬의 북동부지역을 오스트레이리아가 위임통치하도록 했습니다. 
 
제2차세계대전 때인 1942년에 일본군이 이 섬의 북부를 점령했지만 1944년에 연합군이 탈환했습니다. 1945년에 전쟁이 끝난 뒤 국제연합(un)의 결정에 따라 뉴기니섬의 북동부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신탁통치를 받게 되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49년에 섬의 북동부와 남동부(지금의 파푸아뉴기니)를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1949년에 네덜란드에서 독립하고 뉴기니섬서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습니다. 1962년에 네덜란드는 이 지역에 대한 문제를 유엔에 위임하기도 결정했습니다. 1963년에 유엔은 이 지역을 인도네시아가 위임통치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이 지역의 이름을 서이리안으로 바꾸었습니다. 1969년에 이 지역 주민은 투표로 인도네시아의 영토로 편입되는데 찬성했습니다. 
 
1960년대에 서이리안과 파푸아뉴기니에 사는 일부 주민이 독립을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1969년에 인도네시아는 서이리안의 독립운동을 진압했습니다. 1973년, 서이리안은 이리안자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1973년에 오스트레일리아는 파푸아뉴기니인에게 국내 문제에 관한 자치권을 주었습니다. 1975년에 파푸아뉴기니는 오스트레일이아에서 완전히 독립했습니다. 2002년 이리안자야는 파푸아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