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지리

세계지리 - 나미비아 Namibia의 정치, 국민,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by 꽈순이 2023. 8. 29.
반응형

세계지리 - 나미비아 Namibia의 정치, 국민, 자연환경,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아프리카대륙 남서부에 있는 나라입니다. 옛 이름은 남서아프리카입니다. 나미비아 국민은 대부분 흑인입니다. 1916년부터 1990년 초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백인정부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여러해 동안 협상한 끝에 1990년 3월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완전히 독립했습니다. 

 

국토가 건조하고 척박하여 농사를 짓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이아몬드와 우라늄을 비롯한 광물자원이 풍부합니다. 빈트후쿠가 이 나라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입니다. 

 

나미비아 정치

정부의 수반은 대통령입니다. 초대 대통령은 독립 바로 직전에 의회에서 선출했고, 그 후부터는 국민이 직접 선출합니다. 대통령은 임기가 5년이며 중임할 수 있습니다. 입법부는 의회와 국가위원회로 구성됩니다. 의회가 법률을 정하면 국가위원회가 검토합니다. 의회는 국민이 선출한 의원 72명으로 구성되며 의원의 임기는 5년입니다. 

 

국가위원회는 26명으로 구성되며, 13개의 지방지원회에서 6년마다 위원을 2명씩 뽑습니다. 지방위원회 위원은 국민이 선출합니다. 나미비아에서 가장 강령한 정당은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이며 주요 야당은 민주체육동맹입니다. 현재 나미비아의 정규군은 약 8,000명입니다. 병역제도는 지원병제도입니다. 

 

나미비아 국민

전체 국민의 약 68%가 농촌지역에 살며 약 32%는 도시에 삽니다. 인구의 90%이상이 흑인이며 백인은 7%정도입니다. 나미비아의 흑인은 여러 부족으로 나뉩니다. 그 가운데 오밤보족이 가장 많으며 전체 인구의 절발 이상을 차지합니다. 오밤보족은 앙골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북부지방의 오밤볼란드 또는 오바보라고 부르는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북부에는 오카방고강 근처에 사는 카방고족과 카프리비세편이라고 부르는 좁고 기다란 지역의 동쪽 끝에 사는 카프리비아족이 있습니다. 중부에는 다마라족과 헤레로족이 살며, 동쪽 국경 근처에는 산족(부시먼)과 츠와나족이 삽니다. 빈트후크 남부에는 두 혼혈 부족이 사는데 레오보트 일대에는 바스테르족이, 더 남쪽에는 나마족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나미비아에 사는 백인은 네덜란드,영국, 독일계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람들입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혼혈족인 컬러드로 이 나라에 삽니다. 이들은 도시나 도시 근처에 삽니다. 

 

북부에 사는 나미비아인들은 대부분 농업, 어업, 목축업에 종사합니다. 오밤보족과 카방고족 사람들은 추메브에 있는 구리광산이나 남쪽 국격 근처의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일하기도 합니다.

 

백인들은 대다수가 도시에서 관리직에 종사합니다. 흑인 부족들은 생활 수준이 다양하지만 대부분 생계를 이어가기도 어려운 형편입니다. 일반적으로 백인이 흑인보다 수입이 많습니다. 그러나 독립 이후에 나미비아 정부는 흑인들의 생활 수준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미비아의 공식 언어는 영어이지만 흑인들은 대부분 15개에 이르는 토속 아프리카어를 씁니다. 국민의 90%정도가 크리스트교도입니다. 루터교 신자가 제일 많으며 그 다음은 로마가톨릭교, 영국성공회, 네덜란드개혁교회 순입니다. 

 

나미비아 자연환경

나미비아의 북부에는 쿠네네강과 오카방고강이 앙골라와 국경을 이루며 흐릅니다. 콴도강이 카프리비세편을 가로지르고, 북동쪽 국경선에는 잠베지강이, 남쪽 국경선에는오렌지강이 흐릅니다. 

 

나미비아의 서쪽 국경은 해안선으로 대서양을 따라 약 1,500km정도 뻗어 있으며, 가까이에 나미브사막의 거대한 사구가 있습니다. 동부에는 칼라하리사막이 있으며 내륙지역은 1,200m정도 높이의 완만한 평야가 주를 이룹니다. 이러한 평야지역에는 땅딸막한 나무와 풍부한 초지가 있어 소를 기르거나 옥수수를 재배합니다. 

 

나미비아의 내륙평야에는 큰 영양이 살고 북서부에는 사막환경에 적응한 코끼리가 삽니다. 중북부에는 거대한 야생동물보호구역인 에토샤공원이 있습니다. 이 공원에는 영양, 치타, 코끼리, 기린, 사자, 코뿔소, 얼룩말을 비롯한 많은 동물이 있습니다. 

 

나미비아의 평균기온은 1월이 24℃, 6월이 20℃입니다. 비는 대부분 12월에서 이듬해 3월 사이에 내립니다. 북부의 연강수량은 약 500mm이며 중부의 연강수량은 약 200~400mm입니다. 그러나 남부의 연강수량은 약 25~150mm밖에 안됩니다. 

 

나미비아 경제

나미비아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은 광업입니다. 주요 광물로는 다이아몬드, 우라늄, 구리, 납, 주석, 아연이 있습니다. 농업, 축산업, 어업도 중요한 경제활동이었으나 1970년대 말부터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농촌에서는 대부분 생활에 필요한 농작물만을 재배합니다. 주요 농작물은 옥수수, 기장, 채소이며, 소와 양이 가장 중요한 가축입니다. 어업으로는 멸치, 고등어, 정어리 따위를 잡습니다. 제조업은 거의 발달하지 않았습니다. 

 

나미비아의 주요 수출품은 장신구용 다이아몬드, 우라늄 산화물, 구리, 납, 아연이고, 수입품은 밀을 비롯한 식료품과 공산품입니다. 무역 상대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일본, 미국, 영국 등입니다. 

 

약 2,330km의 청도가 주요 대도시를 연결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도로의 길이는 약 3만 8600km정도이나 그 중 포장된 곳은 1/4도 안됩니다. 월비스베이가 주요 항구도시이며 빈트후크 근처에 국제공항이 있습니다. 

 

나미비아 역사

나미비아의 원주민은 다마라족과 산족입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북쪽에 살던 헤레로족과 오밤보족이 대거 이동해 왔습니다. 19세기에는 다마라족, 헤리로족, 오밤보족이 큰 부족을 이루었으며, 카방고족과 카프리비아족이 현재 그들이 사는 곳으로 이주해왔습니다. 다른 종족들도 19세기에 이주해와 정착했습니다. 

 

1868년부터 독일의 이주민, 선교사, 군인들이 나미비아 해안지역을 식민지로 만들었습니다. 1884년에 독인은 이 땅을 병합해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라고 불렀습니다. 

 

제1차세계대전 중인 1915년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군대가 독일인을 공경해 나미비아를 점령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나미비아를 자기네 영토로 만들려고 했으나 미국을 비롯한 연합국이 반대했습니다. 1920년에 국제연맹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나미비아를 위임통하도록 결정했습니다. 

 

1945년 국제연맹 대신 국제연합(un)이 구성되었습니다. 국제연합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나미비아에 통치권을 반환하도록 했으나 남아프리카공화국은 국제연합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1966년에 국제연합은 나미비아에 대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통치를 끝내기 위해 투표를 실시했고, 1971년에 국사범재판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나미비아를 통치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선언했습니다. 

 

1960년에 나미비아의 흑인들은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라는 정치 조직을 만들었습니다. 이들은 처음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독립을 허락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1960년대부터는 게릴라전법을 사용했습니다. 그러자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나미비아의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앙골라와 잠비아에 군대를 배치했습니다. 남아프카공화국과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의 전투는 1989년까지 계속됐습니다. 

 

1977년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나미비아 백인들로 이루어진 의회가 정치적 지휘권을 갖도록 계획을 세우고 나미비아를 독립시키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국제연합은 백인이 나미비아를 지배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했습니다. 미국, 영국, 서독, 프랑스, 캐나다의 대표들은 국제연합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협상하도록 설득했습니다. 그리하여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나미비아의 독립을 위한 협상이 진행되었습니다. 

 

1988년, 암아프리카공화국은 1990년 4월까지 나미비아를 완전히 독립시킨다는 계획에 동의했습니다. 1989년 4월에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정전에 동의했으며, 1989년 11월에는 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투표를 실시했습니다. 1990년 11월에는 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투표를 실시했습니다. 

 

1990년 2월에 의회는 헌법을 승인했고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의 의장인 누조마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습니다. 나미비아는 1990년 3월 21일에 독립했으며 영국연방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1994년에 나미비아는 독립한 이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차지하고 있었던 주요 항구를 비롯한 월비스베이 구역의 통치권을 돌려받았습니다. 1999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누조마가 1994년에 이어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그 해 실시된 충선거에서도 그가 이끄는 서남아프리카인민기구가 승리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