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리 - 대서양의 위치와 크기,해저,해수,수온,해류,해양생물,탐험

태평양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바다입니다. 지구 바다 면적의 26%를 차지하며, 지구 전체 표면 면적의 17%를 차지합니다. 대서양에는 해양 생물이 사는 특이한 서식지가 많으며, 소중한 자원과 수산물이 풍부합니다. 대서양은 수백년 동안 중요한 해상 무역로였으며 끊임없이 탐험이 이루어진 곳입니다. 대서양의 많은 섬과 해안은 중요한 해양 휴양지와 관광지입니다.
대서양의 위치와 크기
대서양은 동쪽으로는 유럽 및 아프리카 대륙과, 서쪽으로는 남북 아메리카와 경계를 이룹니다. 위로는 그린란드해의 데이비스해협에서 북극해와 연결됩니다. 아래로는 남위 60˚쯤에서 남극해와 만납니다.
대서양은 적도를 기준으로 북대서양과 남대서양으로 나뉩니다. 북대서양에는 육지 쪽으로 들어간 작은 바다인 연안해가 많습니다. 여기에는 발트해, 흑해, 카리브해, 지중해, 래브라도해 등이 있습니다. 어떤 과학자들은 북극해를 북대서양의 연안해로 보이기도 합니다. 남대서양에는 연안해가 없습니다.
대서양에서 가장 폭이 넓은 곳은 8,800km로 에스파냐와 멕시코 사이입니다. 가장 좁은 곳은 2,900km로 브라지로가 서부 아프리카 사이입니다. 대서양의 면적은 약 8,800만 ㎢입니다.
대서양의 해저
대륙주변부
대서양 해저의 일부로 각 대륙과 접한 곳입니다. 대륙 주변부는 대륭붕, 대륙사면, 대륙대로 구분됩니다. 대륙봉은 해안선에서 깊이 100m 정도까지 완만하게 내려간 비탈을 말합니다. 대륙붕의 너비는 몇 km부터 400km까지 다양합니다. 대륙붕을 지나면 해저는 수심 3,000m까지 가파르게 내려갑니다. 이 경사면이 대륙사면입니다. 그 아래쪽 바닥이 대륙대로, 대륙에서 씻겨 내려온 퇴적물들이 있는 곳입니다. 거기서부터 해저는 수심 4,000m의 심해까지 서서히 내려갑니다.
대서양의 큰 섬들은 대륙과 가까운 곳에 있으며 대륙도라고 합니다. 북대서양에는 배핀섬, 쿠바, 브리튼섬, 그린란드, 아일랜드 등의 대륙도가 있으며 남대서양에는 포클랜드제도가 있습니다.
대서양중앙해령
대서양 해저에서 가장 특징적인 지형으로 아이슬란드 북쪽에서 남극해까지 뻗은 해저산맥입니다. 이 해령은 지각판끼리의 경계를 이룹니다. 지각판이란 대륙을 받치고 해저를 이루는 지구 표면의 단단한 판을 말합니다. 해저가 확장되면서 갈라진 지각판들의 틈이 점점 벌어지면 그 틈에서 솟아난 용암이 굳어서 새 해저가 형성됩니다. 해저의 확장으로 대서양은 해마다 1.3cm씩 넓어지고 있습니다.
대서양중앙해령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중앙해령계의 일부입니다. 이 산맥에서 해저 지진, 화산, 열수 분출이 일어납니다. 열수는 해저에 금이 간 사이로 스며든 물을 아래쪽 화산의 용암이 가열한 것입니다. 가열된 물은 해저로 뿜어져 나옵니다. 대서양중앙해령은 몇 군데에서 수면 위로 올라와 섬을 이룹니다. 어센션제도, 아조레스제도, 아이슬란드 등이 이런 섬입니다. 화산 분출로 생긴 화산섬은 버뮤다제도, 카나리아제도 등입니다.
해저는 대서양중앙해령에서 심해저평원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아지는데, 심해저평원의 수심은 4,300~5,500m입니다. 해구는 대서양에서 가장 깊은 부분으로, 서인도제도 근처와 남아메리카 남쪽 끝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대서양에서 가장 깊은 곳은 푸에르토리코해구로 수심이 8,648m입니다.
대서양의 해수
대서양 가장 깊은 곳의 해수층은 심층수와 저층수입니다. 해수면에서 내려오는 이들 해수층만이 깊은 해저분지에 사는 생물들에게 산소를 공급합니다. 심층수는 해저 1,000~4,000m 사이에 있으며, 저층수는 해저 4,000m에서 바닥까지 이릅니다.
대서양 저층수는 대서양 연안을 따라 형성되는데, 세계에서 가장 차가운 바닷물입니다. 대서양의 바닷물이 남극에서 얼면 염분은 얼음에서 분리되어 얼지 않은 물에 남게 됩니다. 따라서 얼음 주변에 남은 물은 염도가 높아집니다. 이 물은 대서양 사면을 따라 해저분지로 가라앉습니다. 결국 저층수가 된 이물은 해저를 지나 북대서양 쪽으로 이동하여 북위 45˚까지 올라오기도 합니다.
대서양의 수온
대서양 표면의 수온은 여름에 적도 근처가 30˚이며, 겨울에 남극해 주변이 영하 2℃입니다. 날씨가 온화한 지역에서는 표면부터 수면 아래 100m까지 수온이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100m 아래부터는 급격히 떨어져 1,000m 아래의 수온이 5℃까지 내려갑니다. 해저까지는 다시 수온 변화가 없습니다. 추운 지역에서는 표면과 깊은 곳과의 수온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대서양의 해류
몇몇 강한 해류가 대서양에서 이동합니다. 북대서양의 멕시코만류는 열대지방의 따뜻한 바닷물을 유럽의 해안으로 운반합니다. 래브라도해류는 그린란드와 캐나다 사이의 북극해에서 시작하는 한류로, 멕시코만류와 만나는 지점에서 끝납니다.
남대서양의 해류는 북대서양의 해류보다 약합니다. 브라질해류는 열대지방에서 남아메리카 해안을 따라 따뜻한 물을 남쪽으로 운반합니다. 한류인 포클랜드해류는 아르헨티나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흘러 브라질해류와 만납니다.
대서양의 해양 생물
많은 해양동물이 대서양에 살고 있으며 플랑크톤이 풍부한 곳에 많이 서식합니다. 물고기의 먹이가 되ㅏ는 플랑크톤은 해수면 가까이 삽니다. 대륙붕 주변에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광물질이 풍부하여 해양생물이 많이 서식합니다. 대서양은 전세계 연간 해산물 수확량의 1/3을 공급합니다. 주요 어장은 북해의 도거뱅크와 캐나다의 그랜드뱅크 주변 해역입니다.
대서양의 탐험
기원전 8세기에 페니키아의 상인들이 대서양 탐험을 시작했고, 9세기에 바이킹이 북대서양 탐험을 시작했습니다. 그 후 200년 동안 이들은 그린란드와 아이스랄란드에 식민지를 개척하고 북아메리카까지 항해했습니다. 14세기와 15세기에 대서양 탐험이 급속히 늘어났습니다.
바르톨로뮤 디아스는 1487년에 아프리카 남쪽 끝을 돌아서 항해했습니다. 1492년 콜럼버스는 유럽에서 북아메리카까지 항해하여 배로 서대서양을 건넜습니다. 이후 50년 동안 영국, 프랑스, 포르투갈, 에스파냐의 탐험가들이 대서양을 항해했습니다. 1873년과 1876년에 영국의 과학 탐사선 챌린저호에 승선한 해양학자들이 최초로 대서양 해저를 조사했습니다.
1925~1927년 메테오르호를 타고 탐사하던 독일 과학자들은 남대서양의 해수면 아래를 조사하고, 대서양중앙해령이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1968년, 심해 굴착 작업으로 해저 퇴적물과 암반을 조사해 해저분지에 대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대서양이 1억 8000만 년에 걸친 해저 확장으로 형성되었다는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20세기 말과 21세기 초, 대서양 연구를 위해 대규모 다국적 해양학팀들이 구성되었습니다. 이들이 대표적인 연구 활동은 해수의 화학 성분을 조사하려고 1971년 시작된 국제적인 프로젝트인 지구화학해양부문연구입니다.
해양 연구를 위해 개발된 기술은 해양고고학에도 새 기회를 주었습니다. 탐사가들은 20세기 말 대서양 바닥에서 많은 난파선을 찾아냈습니다. 해양고고학자들은 지중해에 있는 로마시대 유적지도 탐사했습니다. 이런 유적지는 거의 1000년 동안 훼손되지 않고 남아 있어서 과거를 알게 해주었습니다.
'세계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지리 - 댈러스의 경제,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3.10.12 |
---|---|
세계지리 - 대서양 연안 내륙수로, 대순다열도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10.11 |
세계지리 - 대보초의 위치와 규모,지형,기후,해양생물,산호초보호,관광명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0.06 |
세계지리 - 다카르,달링강,달마티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0.05 |
세계지리 - 다바오,다윈,다카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10.04 |